반응형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 최단 거리(hop count)를 기준으로 경로를 선택
- version 1 : classful routing - 네트워크주소와 hop count를 전달함
- version 2 : classless routing - 네트워크주소와 서브넷 마스크와 hop count를 함께 전달 함
- 비교적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함 최대 hop count는 15
- 30초 주기로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변화가 적용되는 속도가 느림
- 경로 계산 알고리즘 - Bellman-Ford Algorithm
- 네트워크 정보를 학습한 인터페이스 방향으로 동일한 네트워크 정보를 재전달하지 않음 - split horizon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
- IETF 표준 Routing Protocol
- 동일한 Protocol을 사용하는 인접장비와 LINK 상태 정보(interface 정보)를 교환함
- 빠른 속도(Link State)기준으로 경로를 선택 (Dijkstra's 알고리즘)
- 모든 장비의 interface 상태를 Topology Database에 기록한 뒤 각 Line에 드는 비용(cost)값을 계산하여 최적 경로를 결정하고 routing table에 기록
- Metric -> Cost(Bandwidth, 전송속도) -> 속도를 기준으로 경로를 선택 함
- 큰 범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함 -> 정보 교환의 거리 제한이 없음
- 상태변화가 발생될 때마다 상태를 광고하기 때문에 수렴시간이 빠름
- 부하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영역을 나누어 관리
- 계층적인 구조를 가짐
실기 단답형 기출 문제로 나왔으니 두 프로토콜의 차이 기억하기!!
반응형
'자격증 > 네트워크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합격~~ (0) | 2021.12.28 |
---|---|
OSI 7 Layer / 네트워크 (0) | 2021.12.14 |
[네트워크관리사2급] 실기 ROUTER 문제 정리 (0) | 2021.12.11 |
[네트워크관리사2급] 리눅스 명령어 정리 (0)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