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과정

[KH 정보교육원] 면접 예상질문 정리

mim 2021. 11. 29. 19:13
반응형

현재 공부 진행사항

  • 퇴사 9월 19일
  • 독학사 운영체제 / 데이터베이스 2과목 합격
  • 정처산기 필기 합
  • 혼공자 챕터 4까지 예습 완료 →반복문 조건문

예습 계획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실기 시험
  • 혼자 공부하는 자바 완독
  • 생활코딩 HTML/CSS강의 완강
  • SQLD 43회차 응시 접수일 10월 25일 / 시험일 11월 20일

 


예상문제 정리

 

자바 창시자 제임스 고슬링 선 마이크로시스템

"한번 작성하면 어디에서든 작동한다."

자바의 모토는 'WORA(Write Once, Run Anywhere)'다. 즉 개발 코드를 한 번만 작성하면 어떠한 플랫폼에서든 쓸 수 있다는 의미이다.

 

  • 절차지향 언어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실행 순서를 명확하게 기술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게 중요시된다.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게 만드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대표적으로는 C언어 파스칼 등이 있다. 실행 속도는 빠르나,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객체지향 언어 : 객체지향이란 모든 현실 세계의 값들을 모델링해서 다수의 객체로 만들고, 이들끼리 서로 상호작용 하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객체지향 언어는 이를 구현하는 언어로 자바, C++ 등이 있다.
  • 추상화 : 실존하는 객체의 여러 특성 중,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필요한 공통부분만 파악해서 추출하고 필요하지 않은 것은 제거하는 것이다.
  • 캡슐화 : 데이터와 알고리즘 및 코드를 하나로 묶음 → 오류가 적고 데이터 보호 · 은닉할 수 있다.
  • 상속 : 이미 작성된 클래스를 이어받아서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 (= 상위 클래스의 모든 것을 하위 클래스가 이어받는 것) → 코드 재사용 쉽다.
  • 다형성 : 같은 이름의 함수 호출에 대해 객체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현 → 코드 재사용 및 업그레이드가 쉽고 디버깅이 쉽다.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고,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다.

데이터베이스 : 여러 사람들의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운영되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같은 데이터가 중복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으며 업무가 확대되어도 새로 파일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 계층형 DB : 트리(Tree) 형태의 자료구조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 네트워크형 DB : 오너와 멤버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 관계형 DB : 릴레이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릴레이션을 사용해서 집합 연산과 관계 연산을 할 수 있다.→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DBMS의 종류에는 오라클 (가장 인기 있는 관계형 DB 시스템, 2차원의 열과 행으로 나눠진 테이블 형태로 저장 관리), MS-SQL, MySQL 등이 있다.

 

SQL?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로 구조화된 질의어이다.

 

프런트엔드 : 웹사이트나 앱을 볼 때 사용자에게 보이는 이미지, 텍스트, 버튼 등의 화면 구성 부분을 개발하며 HTML, CSS, JavaScript 등을 사용하여 view단을 개발하는 역할이다.

 

백엔드 :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부분을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view단에서 버튼을 클릭하거나 값을 입력했을 때 작성한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는 작업은 백엔드에서 이뤄진다. 주로 서버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OS 관리를 담당한다. 자바언어와 Spring 용어를 다룰 줄 알아야 한다.

 

팀플에서 고집을 부리는 팀원과의 갈등 대처방안

팀원과의 대화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더 많은 역할을 해서라도 결과물을 최선을 다해 만들어 내겠다고 답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