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과정/html css
[HTML5] 문서 형식 선언 <!DOCTYPE html>
mim
2022. 2. 8. 22:10
반응형
<!DOCTYPE html>
문서의 형식을 알려주는 태그
<!DOCTYPE [문서 형식]>
HTML5 이전 버전까지는 URL을 포함하여 작성했지만,
HTML5에 들어서는 <!DOCTYPE html>과 같이 간단하게 표기하게 되었다고 함.
<!DOCTYPE html>
<!-- HTML5 문서 형식 선언 -->
<html lang="ko">
<!-- <html> : html 문서의 내용을 정의 -->
<!-- lang 속성 : 페이지가 어떤 언어로 되어있나 표시 (검색 엔진 참조) -->
<head>
<!-- <head> : 문서 제목과 스크립트, 스타일 시트의 링크
또는 선언을 포함하는 문서의 일반적인 정보(메타데이터)를 정의 -->
<meta charset="utf-8">
<!-- 문자 인코딩 선언 -->
<title>제목</title>
<!-- <title> : 브라우저의 제목 표시줄이나 페이지 탭에 보여지는 문서의 제목을 정의 -->
</head>
<body>
<!-- <body> : html의 문서의 내용(content)을 정의 -->
</body>
</html>
<html> </html>
Html 문서 시작 , 끝을 표시
Lang 속성은 이 페이지가 어느 나라 언어로 되어있는지 표시를 의미
*검색엔진이 페이지 검색 시에 참고 , 검색 사이트에서 특정언어 제외할 때 사용
속성 : lang
ex) <html lang=“ko”>
속성값 : 설정언어
코드 | de | en | fr | ja | ko |
언어 | 독일어 | 영어 | 프랑스어 | 일본어 | 한국어 |
<head> </head>
문서의 각종 정보와 문서 자체에 대한 설명 내용
<title>, <meta>, <link>, <style>, <script> 등 사용
<body> </body>
화면에 출력해서 보여주는 모든 정보 내용
head 들어가는 태그를 제외하고 모든 태그를 사용
<!-- 주석 -->
코드 작성내용에 대해 설명하는 곳에 사용하여 브라우저가 이 부분은 해석하지 않고 넘어간다
! + Tab 단축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 문서의 제목</title>
</head>
<body>html 문서의 콘텐츠 내용을 작성하는 부분 </body>
</htm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