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네트워크관리사

OSI 7 Layer / 네트워크

mim 2021. 12. 14. 19:25
반응형





Network : 사용자 혹은 데이터가 어떤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든 통로이며,
TCP/IP를 이용하고 어떤 곳이든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OSI 7 Layer : 국제표준기구(ISO)에서 표준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가장 기반이 되는 참조모델로,
TCP/IP 및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프로토콜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7 Layer


1계층 물리Physical 계층 : 실제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전기적 규격, 물리적인 사항을 정의 (랜 케이블)
Repeater, 허브, 케이블 등

2계층 데이터링크Data link 계층 : 두 지점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 (오류제어, 흐름제어)
가공되지 않은 내용의 전송을 담당하는 물리층을 신뢰성 있는 링크로 변환시켜 준다
HDLC, L2F, L2TP, PPTP

3계층 네트워크Network 계층 : 여러 개의 지점을 거칠 때 경로를 찾아줌 (최적 경로 선택)
데이터를 어디로 보낼지, 패킷의 목적지를 찾는 역할
IP, ICMP, IGMP, ARP, RARP, RIP, IPsec

4계층 전송Transport 계층 : 양 끝단의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 (라우터)
데이터 전송을 담당. 데이터의 용량과 속도 목적지들을 처리
TCP, UDP

5계층 세션Session 계층 : 대화가 질서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 (동기제어)
TLS, SSH(22)

6계층 표현Presentatio 계층 : 인코딩 및 데이터의 형식 차이를 조절 (암호화, 코드)
서로 다른 데이터 표현 형태를 갖는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해 공통된 형식으로 변형하는 계층.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검색, 정보 형식 변환, 문맥 관리 기능을 한다.

7계층 응용Application 계층 : 응용 프로그램에서 서비스를 수행 (메신저, 웹브라우저 프로그램)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보고 실제 작업을 하는 계층 ex)카카오톡, 전자우편
HTTP(80), SNMP(161), SMTP(25), FTP(21), TFTP(69), Telnet(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