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m
mim 코딩 기록
mim
  • 분류 전체보기 (131)
    • 백엔드 과정 (108)
      • Java (50)
      • Oracle(SQL) (19)
      • jdbc (6)
      • html css (4)
      • JavaScript (5)
      • Servlet (12)
      • Spring (3)
      • 자바 예습 (8)
    • 개발지식 (12)
      • CS공부 (9)
      • 세미나및교육 (2)
    • 자격증 (6)
      • 네트워크관리사 (5)
    • Project (3)
    • Error Note (1)

블로그 메뉴

  • 깃허브

태그

  • 국비교육
  • 배열
  • 자바
  • SQL
  • 반복문
  • JDBC
  • Servlet
  • 오라클
  • 국비
  • oracle
  • java
  • 국비학원
  • 문제풀이
  • 데이터베이스
  • 서블릿

인기 글

최근 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티스토리

반응형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mim

mim 코딩 기록

개발지식/CS공부

[C언어] 표준 입출력 함수

2022. 3. 18. 08:04
반응형

표준 입출력 함수

함수란?

함수란 특정한 작업(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독립적인 프로그램

 

C언어에서의 함수 

표준함수 : C언어 자체에서 제공하는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 :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함수

 

표준 입출력 함수의 종류

표준 출력 함수 기능
printf() 화면(moniter)에 여러 종류의 자료를 출력
putchar() 화면에 1개의 문자를 출력
put() 화면에 문자열을 출력
표준 입력 함수 기능
scanf() 키보드를 통해 여러 종류의 자료를 입력받음
getchar() 키보드를 통해 1개의 문자를 입력받음
gets() 키보드를 통해 문자열을 입력받음

 

1. printf() 함수

printf("출력양식", 변수1, 변수2, ..);

주어진 출력양식으로 자료를 출력한다.

int i=10, j=20, k, 30;
char c = 'A';

printf("간단한 출력 프로그램");
printf("i = %d, j = %d, k = %d ", i, j, k);
printf("c = %c, c의 아스키 코드값은 %d\n", c, c);

 

간단한 출력 프로그램 → printf()문의 인용부호 내 문자가 화면에 출력

i= 10, j= 20, k= 30 → %문자와 대능

c=A, c의 아스키 코드 값은 65 → 변수 c는 순서대로 %c와 %d에 대응

 

출력양식 변환 기호

% 문자 변환 형식 인자의 자료형
%d 지정한 자료를 부호 있는 10진 정수로 변환하여 출력 정수형, 문자형
%u 지정한 자료를 부호 없는 10진 정수로 변환하여 출력 정수형, 문자형
%f 지정한 자료를 부동소수점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 실수형
%e %E 지정한 자료를 지수형태로 변환하여 출력 실수형
%c 지정한 자료를 한 문자로 변환하여 출력 정수형,문자형
%s 지정한 자료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출력 문자열 포인터
%o 지정한 자료를 부호 없는 8진수로 변환하여 출력 정수형, 문자형
%x %X 지정한 자료를 부호 없는 16진수로 변환하여 출력 정수형, 문자형

 

2. scanf() 함수

scanf("입력양식", &변수1, &변수2, ..);

주어진 양식으로 자료를 입력받아 지정된 기억공간(변수)에 저장

int a, int b;
scanf("%d %d", &a &b);

두개의 입력을 받을 때 구분은 공백으로 한다.

 

입력양식 변환 기호

% 문자 변환 기능
%d 키보드를 통해 정수형을 입력받음
%ld 키보드를 통해 long을 입력받음
%f 키보드를 통해 실수형을 입력받음
%lf 키보드를 통해 double 실수형을 입력받음
%c 키보드를 통해 문자형을 입력받음
%s 키보드를 통해 문자열을 입력받음

 

3. getchar() 함수

한 문자를 키보드를 통해 입력받는다.

변수 = getchar();

 

4. putchar() 함수

한 문자를 화면에 출력한다.

putchar(변수);

char var='A';
putchar(var);
putchar(var+1); //수식도 사용가능 대문자'B' 출력
putchar('K') //문자형 상수도 사용가능 대문자'K' 출력

 

5. gets() 함수

문자열을 키보드로부터 입력 받는다.

char s[50]; //문자열 저장을 위해 사전에 배열 선언
gets(s); //문자열을 받아들임

scanf("%s", s); //scanf()와의 차이는 ?

문자열 컴퓨터 과학과 [Enter] 입력시 

get()로 문자열 입력 = 컴퓨터 과학과

scanf()로 문자열 입력 = 컴퓨터 → 공백을 이용하여 구분하여 변수 s에는 '컴퓨터'만 담긴다.

 

6. puts() 함수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한다.

char s1[]="Computer";
char s2[]="Sciance"
puts(s1);
puts(s2);
printf("%s", s1);
printf("%s", s2); //printf()와의 차이는?

Computer

Sciance → puts()는 '\n'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줄이 바뀌어 출력됨

Computer Sciance → printf()는 '\n'을 사용하지 않아서 문자열이 연결되어 출력

 


Reference
C프로그래밍 / KNOUPress

 

C프로그래밍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C프로그래밍

press.knou.ac.kr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개발지식 > CS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함수와 기억클래스 (+C 컴파일러 사이트 )  (0) 2022.03.23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모델  (0) 2022.03.14
[운영체제] 프로세스 / 쓰레드 / 스케줄링  (0) 2022.03.11
[C언어] 상수와 변수 자료형/ 선행처리기  (0) 2022.03.10
[Java] java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 2022.03.05
    mim
    mim
    개발자 취준생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