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m
mim 코딩 기록
mim
  • 분류 전체보기 (131)
    • 백엔드 과정 (108)
      • Java (50)
      • Oracle(SQL) (19)
      • jdbc (6)
      • html css (4)
      • JavaScript (5)
      • Servlet (12)
      • Spring (3)
      • 자바 예습 (8)
    • 개발지식 (12)
      • CS공부 (9)
      • 세미나및교육 (2)
    • 자격증 (6)
      • 네트워크관리사 (5)
    • Project (3)
    • Error Note (1)

블로그 메뉴

  • 깃허브

태그

  • oracle
  • 오라클
  • 국비학원
  • 반복문
  • SQL
  • 배열
  • 데이터베이스
  • 국비
  • 자바
  • 서블릿
  • 국비교육
  • 문제풀이
  • java
  • Servlet
  • JDBC

인기 글

최근 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티스토리

반응형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mim

mim 코딩 기록

백엔드 과정/Servlet

[Servlet] Web Server / WAS

2022. 3. 2. 01:04
반응형

Web

Server-client Model

서버는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말하며,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client(서비스 사용자) → Request(요청) → Server(서비스 제공자)

client(서비스 사용자) ← Response(응답) ← Server(서비스 제공자)

 

Server의 종류

종류 설명
Web Server 웹 브라우저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Mail Server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간의 전자 우편을 주고 받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FTP Server 서버 내에 파일을 업로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파일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Talnet Server Terminal,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창에서 특정 명령어를 통해 원격지 서버를 접속, 관리한다.
Database Server Data를 저장하고, 원격지에 접속할 경우 권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열람, 추가, 수정, 삭제 기능을 처리한다.

Web Server란?

사용자에게 HTML 페이지나 jpg,png와 같은 이미지를 HTTP프로토콜을 통해 웹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서버로, 내부의 내용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 정적인 요소들을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Apache - Apache Software Foundation 에서 만든 서버로 HTTP 통신에 대한 여러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microsoft IIS- Window OS에서 제공하는 웹 서버로, 높은 수준의 보안성과 성능을 제공한다.

 

WAS 란?

Web Application Server의 약자로,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의 결과를 스크립트 언어 등으로 가공하여 생성한 동적인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tomcat - 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Servlet과 JSP를 통한 동적인 웹 문서를 처리하기 위해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서버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하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식, 한 프로그램에 여러 요청이 있는 경우 한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프로그램을 다수 요청을 처리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Container)

서블릿의 생명주기를 관리(생성,초기화,소멸), HttpServletRequest, HttpResponse객체를 생성, 요청에 따라 멀티스레딩 구성, 전송방식에 따라 동적으로 페이지 구성하는 작업진행, 정적로딩처리

 

JSP 컨테이너(JSP-Container)

JSP파일을 다시 java코드로 변경해주고 class파일로 전환하여 메모리 공간에 로드한 뒤 실행 가능하게 만드는 작업을 진행(Servlet화), 처리결과를 HTML파일로 만들어주는 작업진행, 동적로딩처리

 

Web Server VS WAS

구분 장점 단점
Web Server 빠른 처리 속도
-> 요청에 대한 결과 페이지만 전송
구현이 쉬움
-> HTML같은 단순한 문서만으로 구성
한정적인 서비스
-> 만들어진 정보만 보여주기 때문에 서비스가 한정적이다.
글의 추가,수정,삭제가 어려움
-> 문서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직접 수정
WAS 서비스의 다양성
-> 여러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글의 추가,수정,삭제가 쉽다.
-> 문서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직접 수정하지 않는다.
느린 처리 속도
->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전송함
구현이 어려움
-> 서비스에 해당하는 소스를 직접 작성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백엔드 과정 >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let] Response 응답 확인하기  (0) 2022.03.06
[Servlet] GET/POST 방식에 따른 서블릿 메소드  (0) 2022.03.05
[Servlet] 서블릿 라이프 사이클  (0) 2022.03.04
[Servlet] 서블릿 개요  (0) 2022.03.04
[Servlet] tomcat 설치 및 개발환경 구축  (0) 2022.03.04
    mim
    mim
    개발자 취준생

    티스토리툴바